Develop

내가 만든 간단한 Todo List 앱은 새로고침/재접속 시에 초기화 된다. 별도의 DB를 사용하지 않고 브라우저 상에서만 데이터가 처리되기 때문이다.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서 DB에 저장하거나, 브라우저가 가지고 있는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별도의 서버가 필요하지 않은 프로젝트이고 사용할 데이터양이 많지 않으므로 Local Starage에 데이터를 저장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Session Storage는 브라우저를 종료하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저장공간이다. Local Starage는 브라우저를 청소하지 않는 이상 사라지지 않는다. 브라우저마다 다르지만 약 5MB 정도의 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Local Storage 사용하기 데이터 저장 방법..
· Develop/TIL
브라우저에는 개발자가 활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존재한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브라우저 저장소를 자주 다루게 되므로 브라우저 저장소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이론 : 브라우저 저장소 브라우저 저장소 분류 웹 스토리지(Web Storage) : 웹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key-value’ 형식의 저장소 쿠키(Cookie)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key-value’ 형식의 저장소 웹 스토리지(Web Storage) 웹 스토리지는 HTML5에 추가된 클라이언트 기반 ‘key-value’ 형식의 저장소이며, 웹 스토리지는 로컬 스토리지(Local Storage)와 세션 스토리지(Session Storage)로 분류된다. 두 ..
· Develop/TIL
CRA를 이용해서 React 프로젝트를 생성했다. 기본 관리자 계정의 권한으로 생성이 되지 않아 -sudo 권한을 이용하여 생성한 부분부터 약간 마음에 걸렸는데, 파일을 수정하는 타이밍에 문제가 발생했다. 파일을 수정하거나 이동할 수가 없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sudo 권한을 사용하도록 해도 여전히 수정이 안된다... 다행인 것은 명확하게 권한이 부족하다고 알려주고 있다는 점이였다. 내가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은 M1 Mac, MacOS 13.3.1 이다. 관련된 문제를 겪은 다른 사례를 찾아봤지만 정확히 일치하는 사례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애플의 공식 문서에 따르면 Finder를 이용해서 권한을 수정할 수 있다. https://support.apple.com/ko-kr/guide/mac-help/mc..
· Develop/TIL
이번 주차에서는 지금까지 배운 자바스크립트의 기초를 가지고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풀고 페어 프로그래밍을 해보았다. 페어 프로그래밍 : https://ko.wikipedia.org/wiki/%ED%8E%98%EC%96%B4_%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 알고리즘 : https://ko.wikipedia.org/wiki/%EC%95%8C%EA%B3%A0%EB%A6%AC%EC%A6%98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는 것은 컴퓨터가 주어진 규칙에 맞도록 동작하도록 명령하는 방법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다. 처음에는 간단한 문제도 어떻게 답을 작성하면 좋을지 답답했지만, 문제를 하나 둘 풀고 다른 사람의 풀이도 리뷰하며 사고가 넓어지는 것을 느꼈다. 잘 다루지 못했던..
CodeFiore
'Develop' 카테고리의 글 목록 (6 Page)
Mastodon